본문 바로가기
21세기의 놀이하는 인간 : 컴퓨터게임 개론

13. 학습과 디지털 게임

by 2000vud 2018. 6. 12.
반응형

 

1. Why DGBL?



가. 디지털 게임 기반 학습(Digital Game Based Learning)


- 게임을 학습이나 교육의 목적으로 활용할지에 대한 연구


1) Gameification


- 게임의 어떤 요소들로 흥미나 몰입요소같은 것을 학습상황에 적용하는 것


2) 목적에 따른 게임


- 엔터테이먼트 게임

- 교육적인 게임


3) 게임의 구성원리


* 목적에 따른 구성 *


* Play(놀이) *


- Immersive Graphic environment

- Game Mechanics

- Rules Goals

- Problem-solving

- Story


* Fun(재미) *


- Rewards

- Challenge

- Risks Consequences

- Interaction

- Collaboration Competition


4) 오락용 게임과 교육용 게임

 


 

2. 학습이론과 게임



가. 학습이론


1) 행동이론, Behaviorism


- 많은 반복을 통한 학습

- 파블로브의 개 실험

- 종을 울리고 먹이를 주는 경험을 주입하니

- 종만 울려도 개는 먹이를 준다고 생각한다.

- Stimulus, Response


2) 인지주의, Cognitivism


- 행동보다 보이지 않는 것의 변화

- 행동의 위에 생각하고 인식하는 것

- 이해와 저장을 통해 long term memory

- 너무 어려울 경우에 거절하여 Equilibrium

- 받아들이고 기억하면 학습

- 거부하고 기억하지 않으면 학습이 안됨


3) 구성주의, Constructivism


- 모든사람이 학생이며 선생

- 수업, 강의 등과 같이 일방적인 가르침이 아니라 멤버들이 지식을 만들어가는 것

- 능동적인 학습

- 스스로 배우면서 학습할 수 있음

- 의사소통이 중요함



3. DGBL의 실제와 적용



가. 교육용 게임


1)목적 : 교육과 학습

2) 분류 : 교과목별, 연령별

3) 대표적 교과목별 게임


- 과학 : ecoMUVE

- 언어 : Atlantis Quest

- 사회 : River city project

- 인지기술 : Argument wars, People's pie

- 사회(Serious game) : Space station, Food force



나. Serious Game


교육적 목적, 특정 주제에 대해 사회적 교육, 마케팅과 광고, IQ, EQ, 학습동기 증진

- Educational game, simulation, VR, DGBL, Immersive learning simulations



다. Augmented Reality(AR)


- 실시간으로 현실세계에 가상현실 / 물체를 겹쳐서 보여주는 기술


1) AR의 장점


- 휴대성(Portability)

- 참가도(Participation)

- 상호작용(Interactive lesson)

- 기억력 유지 향상(Higher retention)

- 몰입감, 흥미도 향상



라. Virtual Reality(VR)


- 특정 환경이나 상황을 실제와 유사하도록 만들어진 가상의 현실 또는 가상현실을 만드는 기술

-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

- 사용자 경험 창출


1) VR의 장점


- 몰입감(Immersive environment) : 거의 실제 같은 경험

- 전통적 교실 수업에서 탈피

- 주의집중

- 흥미, 호기심 향상

- 추상적 지식 학습에서 구체적 경험

-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입각한 학슴

- 문제 해결력 및 창의성 신장



4. DGBL의 현재와 미래



가. 21세기 학습자들


- 네트워크 환경 : SNS, 메시지의 발달

- 디지털의 활용 상승 : 어른보다 컴퓨터, 태블릿 활용을 잘함

- 창의성

- 협동 : 혼자서는 하기에는 너무 많은 지식이 필요하다.

- 멀티테스킹

- 실험와 실패의 반복


나. 21세기에 필요한 능력


- 의사소통

- 디지털기기의 활용능력

-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는 능력

- 거짓과 진실을 구분하는 능력

- 유연하면서 비판적 사고능력

- 능동적인 활동



다. DGBL의 미래


- 더욱 생생하고 직접적인 교육활동이 가능






반응형

댓글